
This is Brunch to meet in John Bunyan‘s life,
Poor but great preacher
and the author of the second most printed book
The Pilgrim's Progress after the Bible.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인쇄된 책 ‘천로역정’의 저자이자
가난했지만 위대한 설교가였던 크리스천,
존 번연의 삶에서 만나는 브런치입니다.

John Bunyan‘s The Pilgrim's Progress is the second most printed book after the Bible.
존 번연의 천로역정은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인쇄된 책이다.

It is also a milestone for the traveler who left for the kingdom of God,
and a representative work of 17th century English literature along with Milton's fall.
또한 하나님 나라를 향해 길 떠난 나그네를 위한 이정표이자,

밀턴의 실낙원과 함께 17세기 영국 문학의 대표작이다.

In Korea, Pastor Gil Seon-ju has been impressed by the translation of missionary Gale
and is known to have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Pyongyang's Daebuheung.
국내에는 선교사 게일이 번역한 이래 길선주 목사가 감명 받아

평양 대부흥의 원동력이 된 책으로 알려져 있다.

Pastor Lee Sung-bong, a passionate revivalist who was called "Korea's Moody,"
also referred to the world as a future ruined castle
through the "The revival rally of The Pilgrim's Progress."
‘한국의 무디’라 불리었던 열정의 부흥사 이성봉 목사는 ‘천로역정 부흥회’를 통해

이 세상을 장망성(장차 망할 성)으로 지칭하기도 하였다.

In particular,
it is said to have been able to overcome pain
and temptation in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ive them the power to enter salvation,
and to withstand Japanese oppression.
특히 19세기 말 극도로 혼란한 시기에 국내에 들어와 고통과 유혹을 이겨내고

구원으로 들어갈 힘을 주었고 일제의 탄압 하에도 버티게 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Whenever I feel the anxiety, fear,
and heavy burden of every bend of life,
I ask, "Is life like this only to me?"
삶의 굽이마다 엄습하는 염려와 두려움,
무거운 짐을 느낄 때면

‘나에게만 삶이 이런가?’ 하고 묻게 된다.

Let's check once again where we stand in the "The Pilgrim's Progress",
where we spend Christmas thinking about Jesus' holy God
and answer that this life is not strange.
예수님의 성육신을 묵상하는 대림절과 성탄절을 지내며

이러한 삶이 이상한 게 아니라고 답을 주는 ‘천로역정’에서
우리가 서 있는 위치를 다시 한 번 확인해 본다.

Four hundred years later,
what is the power that makes the journey to nature come alive?
천성을 향해 가는 여정을 4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
생생하게 와 닿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Professor Peter of Spurgeon University says the author,
John Bunyan himself, lived such a pilgrimage.
바로 저자인 존 번연 자신이 그런 순례의 삶을 살았기 때문이라고
스펄전 대학 피터 교수는 말한다.

The town of Elstow in Bedford, England, home to John Bunyan,
is an hour away from Cambridge.
존 번연의 고향 영국 베드포드의 엘스토우 마을은
케임브리지에서 한 시간 떨어진 작은 마을이다.

Considering this place in the 1600s, John Bunyan,
who was carrying all kinds of heavy tools under his father,
who was a solider, was seen traveling from town to village,
coincidi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protagonist of The Pilgrim's Progress.
1600년대 이곳을 짐작해 보면 땜장이였던 아버지 밑에서 온갖 무거운 도구를 짐 지고

이 마을 저 마을로 다니던 존 번연의 모습이 바로
천로역정 주인공의 등장 모습과 맞물린다.

He had to go anywhere to find work to continue his household,
but he had to endure the pressure
and hardship by walking for hours a day
with various iron loads in the rain, wind and scorching sun.
가계를 이어가려 일거리를 찾아 어디라도 가야 했을 그는

비바람과 뙤약볕 속에서
각종 쇠붙이 짐을 지고
하루에 몇 시간씩 걸으며
눌림과 힘겨움을 견뎌야 했다.

There were hills and large fields in the radius of his life.
그가 살아간 반경엔 구릉과 넓은 벌판이 펼쳐져 있었다.
Check out the video below for the following story. ~~
이어지는 이야기는 아래 영상을 확인하세요 ~~
SUB) [Brunch TV 4K] Brunch to Meet in John Bunyan‘s life, Poor but great preacher
– The Pilgrim's Progress that showed Christian's life.
SUB) [브런치TV 4K] 가난했지만 위대한 설교가 존 번연의 삶에서 만나는 브런치
- 크리스천의 삶을 보여준 ‘천로역정’

- Of John Bunyan's The Pilgrim's Progress.
- 존 번연의 천로역정 중에서
[음악]
1. 그 어린 양 예수 & 오 베들레헴 (SDG 앙상블)
2. 주기도문 (Vn. 민유경)
3. 이 땅 고치소서 (온누리 일요주일 1부 챔버)
4. 크리스마스에 내려온 사랑 (온누리 토요주일 1부 챔버)
